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희토류 관련 대장주 추천 (국내 대장주 4개, 해외 대장주 4개)

by 나누는 부자 2025. 4. 15.
반응형

희토류 관련 대장주 추천

 

1. 희토류 관련주는 왜 중요할까요?

희토류는 이름만 보면 희귀한 금속처럼 느껴지지만, 사실 지구에는 널리 퍼져 있습니다.
다만 채굴과 정제가 까다로워서 '전략 자원'으로 불리는 금속입니다.

 

이 희토류는 전기차, 스마트폰, 로봇, 레이더, 위성, 반도체 등 거의 모든 첨단 기술에 쓰입니다.

특히 전기차 모터에 들어가는 네오디뮴 자석,
방위 산업에서 쓰이는 디스프로슘 등은 대체가 어렵습니다.

 

현재 세계 희토류 생산의 약 70% 이상을 중국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수출 규제로 인해
다른 나라들은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고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희토류 관련 기업의 주가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희토류 공급 불안 = 주가 상승 요인입니다.
그래서 많은 투자자들이 지금 희토류 대장주를 찾고 있습니다.


2. 희토류 국내 대장주 추천

국내에도 희토류 관련 기업들이 있습니다.
단순 채굴보다, 정제·가공·소재 생산에 강점을 가진 기업들이 대장주로 주목받습니다.

엘앤에프 (066970)

  •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를 생산
  • 니켈·코발트뿐 아니라, 희토류 관련 공정도 보유
  • 테슬라와 직접 공급 계약을 맺은 이력이 있어
  • 희소 금속 수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목입니다.

유니온머티리얼 (047400)

  • 자석용 페라이트 소재를 생산
  • 희토류 영구자석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 생산 업체
  • 중국 수출 규제 이슈가 터질 때마다 주가 급등
  • 희토류 관련주 중 변동성이 크고, 테마주로 자주 부각됩니다.

포스코퓨처엠 (003670)

  • 포스코그룹의 소재 전문 자회사
  •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를 생산하며, 희토류 가공 기술 연구 중
  • 최근 호주 광산 기업과 공급 계약 체결
  • 장기적으로 희토류 자립화의 핵심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노바텍 (285490)

  • 자석용 희토류 소재 및 부품 개발
  •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자석을 만드는 기술 보유
  • 전기차, 풍력 발전기 부품 수요와 연결

이 기업들은 직접 채굴보다는 희토류를 활용하는 가공·소재 기업입니다.
한국에서 채굴이 어렵기 때문에,
이들 기업이 수요 증가의 수혜를 가장 먼저 받습니다.


3. 희토류 해외 대장주 추천

해외에는 희토류 채굴과 정제에 특화된 기업들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미국, 호주, 캐나다 기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MP Materials (티커: MP)

  • 미국의 대표적인 희토류 채굴 회사
  • 네바다주 마운틴패스 광산 운영
  • 미국 국방부와 희토류 공급 계약
  • 미국 내 자원 자립의 상징적인 기업

Lynas Rare Earths (ASX: LYC)

  • 호주의 대표 희토류 채굴 및 정제 업체
  • 중국 외 지역에서 유일하게 상업적 정제 시설을 운영
  • 일본과 미국에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 REMX ETF의 핵심 편입 종목이기도 함

Iluka Resources (ASX: ILU)

  • 희토류와 티타늄 생산을 병행
  • 2024년부터 REE(희토류 원소) 분리 공장 운영 예정
  • 유럽과 미국 시장을 겨냥한 성장 전략 추진

Energy Fuels Inc. (NYSE: UUUU)

  • 원래 우라늄 기업이었지만,
  • 최근 희토류 정제 사업으로 빠르게 전환 중
  • 미국 내 희토류 자립화를 위해 정부 지원도 받는 기업

이들 기업은 희토류의 직접 채굴과 가공을 담당합니다.
특히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미국·유럽 정책에 따라
향후 10년간 큰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들입니다.


(마무리) 테마가 아니라 전략입니다

희토류 대장주는 단기 이슈에 반응하는 테마주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기술 패권과 자원 독립이라는 세계적 흐름 속에서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전략 종목입니다.

 

전기차가 늘고, AI 산업이 커지고, 반도체 수요가 높아질수록
희토류의 필요성은 더 커집니다.


이제는 "잠깐 오르는 종목"이 아니라,
산업 구조 안에서 역할을 가진 기업에 투자해야 합니다.

 

국내외 대장주를 잘 살펴보고,
장기적인 시각에서 투자 전략을 세워보시길 추천합니다.
이제 자원도, 전략도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반응형